
청소년 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 출판일 : 2002년도 / 판매가능
▲ 청소년활동 관련 실무자 및 청소년에게 관심있는 대학생들에게 청소년 문화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 사례들을 엮은 아카데미 교재.
☞ 목차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를 열며
·일정표 - 청소년 복지 실무자를 위한 교육 일정표·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교육 일정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진행과정
특강 ·위대한 거부 - 강대근
청소년문화복지 이론연구
·한국의 청소년복지론 - 이용교
1. 청소년복지의 의의와 특징 2. 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
3. 청소년복지의 실태와 과제 4. 청소년복지의 전망
·청소년문화론 - 김 민
1. 프롤로그 2. 청소년에 대한 읽기와 이해
3. 청소년문화 바로 보기 4. 에필로그
·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 - 김태황
1. 話를 위한 頭 2. 미디어교육이란 무엇인가
3. 청소년문화와 매스미디어 4. 이미지 image
5. ㄷ ㅣ ㅈ ㅣ ㅌ ㅓ ㄹ digital ㄷ ㅣ ㅈ ㅣ ㅌ ㅓ ㄹ
맺는 말 "지금 나에게 무엇이 중요한가?"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론 - 심한기
1. 한국의 청소년복지는 어디까지 왔는가?
2. 왜 ! 청소년문화복지인가?
3.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
·지역사회중심의 사회사업방법론 -표경흠
1. 청소년복지의 현황 2. 지역사회 변화와 복지전달체계
3. 지역사회와 청소년복지 4. 귀 복지관의 주된 실천모형은 어떤것입니까?
5.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복지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연구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실제와 적용
1. 들어가면서 2.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3. 나오면서
·청소년프로그램 평가
1. 들어가며 2. 평가의 개념과과정
3. 평가이론 4. 평가도구의 구성
·미디어와 청소년
1. 문화의 흐름과 communication의 변화
2. ground 와 figure
·미디어집단상담 프로그램
1. 탈출하자 2. 청소년문화 만들기
3. 미디어 집단상담 프로그램 4. 사 족
청소년문화복지 사례연구
·청소년과 함께 하는 미디어제작의 실제
1. 미디어제작활동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2. 광고로 문화읽기
4. Image를 다루기 - 사진 5. 사진 뜨개질
6. cartoon &animation 이야기 7. 함께 해보는 애니메이션의 원리
8. 미디어제작 방법론
·지역청소년문화축제 만들기
1. 실시현황 2. 축제 진행 현황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4. 추진방향 및 구성도
5.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진행과정
6.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결과 및 제언
·학교CA 지원사업
1. 학교CA 지원사업 개괄 2. 2000년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대중음악반'
·99방송축제실시계획서-한울터 연합방송제
부록-설문조사 결과
단체소개-주최·네트워크·후원
아카데미 사람들
청소년 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 출판일 : 2002년도 / 판매가능
▲ 청소년활동 관련 실무자 및 청소년에게 관심있는 대학생들에게 청소년 문화에 관한 이론과 실제적 사례들을 엮은 아카데미 교재.
☞ 목차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를 열며
·일정표 - 청소년 복지 실무자를 위한 교육 일정표·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교육 일정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진행과정
특강 ·위대한 거부 - 강대근
청소년문화복지 이론연구
·한국의 청소년복지론 - 이용교
1. 청소년복지의 의의와 특징 2. 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
3. 청소년복지의 실태와 과제 4. 청소년복지의 전망
·청소년문화론 - 김 민
1. 프롤로그 2. 청소년에 대한 읽기와 이해
3. 청소년문화 바로 보기 4. 에필로그
·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 - 김태황
1. 話를 위한 頭 2. 미디어교육이란 무엇인가
3. 청소년문화와 매스미디어 4. 이미지 image
5. ㄷ ㅣ ㅈ ㅣ ㅌ ㅓ ㄹ digital ㄷ ㅣ ㅈ ㅣ ㅌ ㅓ ㄹ
맺는 말 "지금 나에게 무엇이 중요한가?"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론 - 심한기
1. 한국의 청소년복지는 어디까지 왔는가?
2. 왜 ! 청소년문화복지인가?
3.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
·지역사회중심의 사회사업방법론 -표경흠
1. 청소년복지의 현황 2. 지역사회 변화와 복지전달체계
3. 지역사회와 청소년복지 4. 귀 복지관의 주된 실천모형은 어떤것입니까?
5.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복지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연구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실제와 적용
1. 들어가면서 2.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3. 나오면서
·청소년프로그램 평가
1. 들어가며 2. 평가의 개념과과정
3. 평가이론 4. 평가도구의 구성
·미디어와 청소년
1. 문화의 흐름과 communication의 변화
2. ground 와 figure
·미디어집단상담 프로그램
1. 탈출하자 2. 청소년문화 만들기
3. 미디어 집단상담 프로그램 4. 사 족
청소년문화복지 사례연구
·청소년과 함께 하는 미디어제작의 실제
1. 미디어제작활동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2. 광고로 문화읽기
4. Image를 다루기 - 사진 5. 사진 뜨개질
6. cartoon &animation 이야기 7. 함께 해보는 애니메이션의 원리
8. 미디어제작 방법론
·지역청소년문화축제 만들기
1. 실시현황 2. 축제 진행 현황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4. 추진방향 및 구성도
5.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진행과정
6.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결과 및 제언
·학교CA 지원사업
1. 학교CA 지원사업 개괄 2. 2000년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대중음악반'
·99방송축제실시계획서-한울터 연합방송제
부록-설문조사 결과
단체소개-주최·네트워크·후원
아카데미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