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청소년연극축제 기획 및 청소년 연극활동 지도를 위한 메뉴얼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2021-07-29
조회수 187



청소년연극축제 기획 및 청소년 연극활동 지도를 위한 메뉴얼 "붕어빵 탈출 대작전"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 출판일 : 2003년도 / 판매가능
▲ 7년간 기획·진행을 했던 서울시청소년연극축제의 솔직한 땀과 고민을 정리하고, 실제적인 현장중심의 생생한 사례들을 엮음.

 

▲ 목차

 

무식한 사람들이 만든 청소년연극축제 이야기를 시작하며

 

첫째마당 왜 연극인가?

하나. 장난
둘. 연극의 효과
셋. 연극교육의 필요성
넷. 놀아야 한다
다섯. 아이들은 연극을 원한다

 

둘째마당 청소년연극축제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1막 왜 연극경연이 아닌 축제여야 하는가?

하나. 문화로 경쟁하기
둘. 즐거운 교류와 소통과정으로서의 축제가 필요하다
셋. 당당함의 근거는 무엇인가?

 

2막 단계별 축제과정 제시하기

1단계. 고민과 설계의 단계 "왜하는거지?"
하나. 정확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둘. 기획서를 만들어보자

2단계. 준비하기 "잘 놀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하나. 조직만들기
둘. 홍보하기
셋. 참가 동아리 모집하고 선정하기

3단계. 과정만들기 "과정이 살아있어야 축제가 산다"
하나. 제대로 알려주기 (축제과정 설명회)
둘. 신나는 워크숍 진행하기
셋. 연극캠프 만들기
넷. 순회방문지도
다섯. 네트워크 만들어 가기

4단계. 마지막 점검단계 "부담감으로... 아니 즐거움으로 점검하기!"
하나. 본마당 홍보 대작전
둘. 극장 선택하기
셋. 현장설명회와 조명설명회
넷. 역할 나누기
다섯. 축제의 꽃 자원봉사자 운영
여섯. 축제일정 (본마당 일정잡기)

5단계. 축제 진행단계 "어, 놀다보니 아이들이 이만큼 커 버렸네!"
하나. 축제는 시작되었다(청소년연극축제 개막식)
둘. 본마당 공연
셋. 폐막식

6단계. 평가 및 사후관리 단계 "이것을 못하면 축제가 안 보인다!"
하나. 기록하고, 정리하기
둘. 평가하기
셋. 사후관리

3막 아름다운 연극축제를 위한 마지막 제언

 

셋째마당 현장에서 활용하는연극사례

1막 학교CA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
- 곱게 자란 아이들
2막 일상생활 소품을 활용하는 인형극 사례
- 부탄가스의 가출
3막 캠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
- 돌아오지 않는 사막

 

넷째마당 청소년과 교사가 말하는 현장 이야기

하나. 교사 이야기 - 나에게 연극은?
둘. 청소년이야기 - 붕어빵 탈출 대 작전 성공!

 

다섯째마당 참고문헌과 별첨자료

하나. 서울시 청소년연극축제 기획안
둘. 보도자료 작성요령
셋. 서울시청소년 연극축제 안내문
넷. 서울시청소년 연극축제 평가보고서


0 0